반응형 건강정보210 부지깽이나물 효능 울릉도의 봄나물로 알려진 부지깽이나물 부지갱이나물이라고도... 봄하면 봄나물이 파릇파릇하게 입맛을 돋우어 주고 나른한 봄을 이겨내는데도 도움을 주는거 같아요~ 싱그러운 초록의 봄나물! 부지깽이나물 부지깽이나물 이름은 부지깽이나물은 섬쑥부쟁이를 부르는 울릉도 취나물의 방언입니다.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부지기아초에서 부지깽이이나물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국화과에 속하는 부지갱이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요즘에는 어디든 키우는게 가능하다고도 하네요~^^ 부지갱이는 독특한 향이 있어 어린순은 나물로 데쳐서 무쳐먹고 부각으로도 튀겨서 많이 먹는다고 합니다. 부지갱이나물 효능 1.염증제거효과 부지갱이는 비타민A와C가 풍부하고 칼슘, 지방, 당질, 사포닌, 인, 단백질 등 .. 2022. 4. 29. 돌외 효능 돌외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제주 특산식물인 ‘돌외’ 맛은 약간 쓰고 약성이 있어 차로 마신다. 잎은 씹으면 단맛이 있어 수국차 같다고 해 감차덩굴이란 의미로 ‘덩굴차, 잎이 7장으로 나서 ’칠엽담‘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중국 진시황시대(기원전 210년) 서복이 한라산에 불로초를 찾아 제주에 왔다가 서귀포시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2000년이란 세월이 지나 제주 특산식물인 돌외가 그 신비의 명약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돌외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베트남 북부에 이르는 산악지역에서 자란다. 이 지역에서는 돌외를 차로 즐겨 마셔 대부분의 주민들은 평균수명보다 더 오래 무병장수한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돌외를 불노초로 여긴다. 남쪽의 인삼으로 칭하기.. 2022. 4. 29. 간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 인체의 "화학공장" 이라고 불리는 "간"~!! 간이 하는일이 500가지가 넘는다. 우리 옛 조상들도 간의 중요성을 “몸이 (1000)천냥이면 간은 (900)구백냥”이라고 했다. 간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들은 사실 간이 중요한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간의 어떤 기능이 마비가 되었을 때 간이 안 좋은 나타나는 증상을 알아보자. 1. 충분히 쉬어도 피곤이 가시지 않는다. 만성피로는 간의 대표적인 기능인 에너지 생성이 안될 때 나타난다. 우리가 음식을 먹는다고 바로 에너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은 위장에서 소화되고 반드시 간으로 들어와야 합니다. 이때 흡수한 음식을 간에서 에너지가 잘 만들어지게 변화시키는데 .. 이 역할이 마비되면 에너지생성이 안됨 - 만성피로 순으로 진.. 2022. 4. 28. 개두릅 음나무순 (엄나무순 ) 효능 음나무잎 먹는법 개두릅 음나무순 (엄나무순)효능 음나무순 (엄나무잎)은 녹음이 짙은 정자목인데 해동목이나 차주목으로 불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개두릅으로도불리고 있다. 귀신 쫓고 액을 막아주는 나무로 알려지며 신목으로 받들며 방문 위나 대문밖에 걸어두는 가정의 액막이용으로 이용해왔다. 지금은 그런 가정이 사라지고 없지만 10여 년 전만 하드라도 간혹 접할 수 있는 풍속이었다. 엄나무를 마을주위나 집주변에 심으면 귀신이 피해가고 병마도 범접치 못한다는 속설이 있다. 한방에서는 귀한 약재로 사용한다 음나무순 음나무잎 먹는법 음나무 개두릅나무는 맛은 쓰고 아리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특한 강한 향을 가지고 있는데향이 너무 진하여 현대의 젊은 층에서는 그다지 선호하지 않고 있으나 장,노년기의 세대에서는 강한 향수를 느낄 수 있는 기호.. 2022. 4. 27.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