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75

심온 심온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세종의 장인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고, 1392년 조선이 개국한 뒤 병조·공조의 의랑을 지내고, 정종 때 대호군, 1411년 풍해도관찰사, 대사헌, 1414년 형조, 호조 판서, 한성부판윤, 이조판서를 지냈다. 청천부원군 심온은 누구인가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20일(1418년 음력 12월 25일)[1])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다. 고려국 성균관 예하 강독관 등을 거쳐 조선국 영의정 등을 지냈다. 자는 중옥(仲玉), 시호는 안효(安孝)이고, 봉군호(封君號)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본관은 청송(靑松), 청송 심씨(靑松 沈氏) 안효공파(安孝公派)의 파조(派祖)이다. 조선 왕실의 이중 인척으로 세종대왕의 장인이.. 2022. 5. 2.
5월 인사말 5월 인사말 입니다. ^^ 서로 5월 인사말로 사랑을 나누는 희망을 나누는 시간 되었으면 합니다. 5월 인사말 가정의 달 5월입니다. 가족들과 더 많이 사랑하고 더많이 감사하며 더 많이 행복한 시간보내세요 꽃향기 가득한 계절의 여왕 5월에는 꽃처럼 활짝 피어나길 바랍니다. 봄꽃향기가 향기로운 5월입니다. 꽃들이 피어나듯 00님의 가정도 행복으로 가득 피어나길 바랍니다. 싱그러운 푸르름이 짙어지는 5월입니다. 희망의 소식들이 더 많이 전해지며 하루하루 행복한 날 가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사랑하는 부모님, 자녀와 함께 좋은 시간 보내시길 바라며 가정의 평안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가정의 달 5월 입니다. 가족 모두 건강을 기원하며 화목하고 행복한 시간 가득하세요. 봄 햇살에 피어나는 .. 2022. 5. 2.
인동초 효능 인동초 인동덩굴 꽃이 예쁘게 피었다. 인동초의 효능이 좋아고 한다. 인동초의 효능 및 효과 알아보자. 1. 과명 : Caprifoliaceae (인동과) 2. 영명 : Lonicera japonica 3. 한명 : 忍冬草 (인동초) 4. 산지 : 한국 5. 용도 : 꽃 (약용, 식용) 덩굴 (약용) 인동초의 효능 인동초는 종기, 이뇨, 감기, 관절통등에 효능이 있다. 인동초의 식용 인동초는 인동꽃을 이용하여 건강차, 건강주로 이용한다. 인동초의 약용 인동덩굴은 해열, 정혈, 소염, 진통 등의 약효가 있고, 금은화꽃은 산열해독, 소종, 거농, 소염, 청혈, 이뇨, 살균 작용이 있어 열성병, 화농성 질환, 급만성 임질, 매독, 농양, 개선, 중독, 악창 등에 특효약이다.(약이 되는 한국의 산야초 (김태정 저.. 2022. 5. 1.
하와이 무궁화 하와이 무궁화 그 색이 화려하다. 꽃의 크기도 엄청 크다.^^ 하와이무궁화란 이름이 붙어진지 알것 같은 하와이 느낌이 드는 화아이무궁화꽃이다 줄기 높이 2∼5m(온실에서는 1∼2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윗부분에는 톱니가 있다. 잎은 쳐지지 않고 진한 녹색으로 약간 흑색이 섞여 있다. 여름에 새로 난 가지에 꽃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는 진한 적색의 꽃이 핀다. 꽃은 하루 동안만 피어 있다가 진다. 꽃은 지름 10∼15cm이며, 꽃잎은 5개이고 암꽃술대가 길게 나와 꽃이 5갈래로 갈라진다. 품종에 따라 꽃의 색깔과 모양 등이 다르다. 꽃은 노란색, 흰색, 연분홍색 등이 있다. 열매는 온실에서는 거의 열리지 않는다. 번식은 씨앗, 가지심기 등으로 한다. 추.. 2022. 5. 1.
금낭화 금낭화가 이쁘게 피었다. 봄 햇살에 반짝이는 분홍빛 금낭화 금낭화 꽃말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옛날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뉘었던 주머니 같은 모양과 비슷해서 며느리 주머니, 며늘치라고도 한다. 그리고 꽃봉우리가 땅을 향해 고개가 숙여있는채로 피어난다고 하여 겸손하고 순종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꽃으로 보여지고 있다. 금낭화(錦囊花, bleeding-hearts)는 현호색과, 양귀비과의 산지의 돌밭이나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금낭화 생약명으로는 하포모단근(荷包牡丹根), 금낭근(錦囊根)로 불린다. 세뱃돈을 받아 넣던 비단 복주머니 모양과 비슷하고, 금낭화의 꽃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 있어 금주머니꽃이라는 뜻인 금낭화라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등처럼 휘어지고, 모란처럼 꽃이 아름다워서 등모.. 2022. 5. 1.
황매산 철쭉 5월여행지 5월 여행지 황매산 철쭉 5월이 오면 꽃이불 덮은 황매산에 가자! 드 넓은 초원과 꽃능선, 바위선이 자아내는 이국적인 풍경 하늘과 맞닿을 듯 드넓은 진분홍빛 산상화원이 매년 5월이면 황매산에 펼쳐집니다. 황매산 철쭉 축제 소개 하늘과 맞닿을 듯 드넓은 진분홍빛 산상화원이 매년 5월이면 황매산에 펼쳐집니다. 황매산(1,113m)은 소백산과 바래봉과 함께 철쭉 3대 명산으로, 만물의 형태를 갖춘 모산재의 기암괴석과 북서쪽 능선의 정상을 휘돌아 산 아래 황매평전 목장지대로 이어진 전국 최대 규모의 철쭉군락지로 유명합니다. 철쭉 군락지인 정상 바로 아래는 과거 목장을 조성했던 평원으로 구릉진 초원이 이국적인 풍경을 자아내며, 황량한 겨울을 이겨낸 초목과 붉은 꽃의 조화가 끝없이 펼쳐진 산상화원의 모습이야말로 황.. 2022. 5. 1.
바질 키우기 바질키우기 토마토와 궁합이 맞아 토마토 요리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바질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며 열대에서는 줄기가 목질화되는 일년생 식물입니다. 바질 화분 한 개만 있으면 필요할 때마다 따서 싱싱한 바질로 요리할 수 있습니다. 말린 바질 보다 신선한 잎을 생으로 이용할 때 풍미와 향이 훨씬 좋으며 스파게티, 피자, 샐러드에 쓰입니다. 종류 스위트바질, 오팔바질, 부시바질, 레몬바질 특징 햇볕이 부족해도 잘 자라는 편이라 베란다에서 키우기에 적합하다. 추위에 약해서 월동은 못 하는 일년생 식물이다. 씨앗 발아가 빠르게 잘 되므로 자라는 속도에 맞춰 큰 화분을 준비한다. 꽃눈이 달리면 잎이 자라지 않고, 향도 적어지므로 수확을 겸해서 일찍이 순지르기와 꽃봉오리 따기를 한다. 일부는 관상용과 채종을 위해 놔.. 2022. 5. 1.
고들빼기 효능 길가에 아무렇지도 않게 피어나는 꽃 고들배기 노란 꽃잎이 봄을 알리는 들꽃이다. 이런 고들빼기가 효능이 있다니 ... 좋은 식재료가 되고 있는 고등빼기 효능 알아보자. 고들빼기 효능 고들빼기를 한의학에서는 약사초(藥師草)라고 부릅니다 고들빼기 종류는 이눌린(inulin) 성분 때문에 무척 씁니다. 만주지역에서는 ‘고돌채(苦葖菜)’라고 표기를 하는데 ‘아주 쓴(苦) 뿌리(葖) 나물(菜)’이라는 의미입니다. 고들빼기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몽고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입니다. 9월부터 10월까지가 제철 기간인 고들빼기는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뿌리와 어린잎은 나물로 먹기로 하고 김치로 담가서 먹기도 합니다. 특히 고들빼기에는 인삼의 대표적인 성분이라고 알.. 2022. 5. 1.
매발톱꽃 매발톱꽃 벌써 피었다. 보라빛 고개를 숙인채 햐얀 꽃술을 보여주는 매발톱꽃 매발톱꽃 높은 산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약간 굵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40cm, 털이 없거나 듬성하게 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는 길이 4~19cm이다. 잎몸은 2회 3출 겹잎이며, 표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드물게 잔털이 듬성듬성 난다. 꽃은 5~7월에 짙은 하늘색으로 피며, 지름 3.5~4.2cm, 줄기 끝에 1~3개가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 난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다. 꽃잎은 5장, 거의 곧추서며,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cm쯤이고, 노란빛 흰색 또는 흰색이다. 수술은 9~10개, 암술은 2~4개다. 열매는 골돌과,.. 2022.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