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낭화가 이쁘게 피었다.
봄 햇살에 반짝이는 분홍빛 금낭화
금낭화 꽃말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옛날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뉘었던 주머니 같은 모양과 비슷해서 며느리 주머니, 며늘치라고도 한다. 그리고 꽃봉우리가 땅을 향해 고개가 숙여있는채로 피어난다고 하여 겸손하고 순종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꽃으로 보여지고 있다.
금낭화(錦囊花, bleeding-hearts)는 현호색과, 양귀비과의 산지의 돌밭이나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금낭화
생약명으로는 하포모단근(荷包牡丹根), 금낭근(錦囊根)로 불린다.
세뱃돈을 받아 넣던 비단 복주머니 모양과 비슷하고, 금낭화의 꽃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 있어 금주머니꽃이라는 뜻인 금낭화라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등처럼 휘어지고, 모란처럼 꽃이 아름다워서 등모란 또는 덩굴모란이라 부르기도 하며, 꽃의 생김새가 옛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니던 주머니와 비슷하여 며느리주머니, 며늘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산지
중국이 원산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지리산, 설악산 같은 곳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생태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연약하며, 곧게 선다. 높이는 약 40-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고 3회 깃꼴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달걀꼴의 쐐기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엉성한 치아 모양 또는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담홍색으로 5-9월 총상꽃차례로서 주머니모양으로 줄기 끝에 핀다. 수술은 6개로 양체(兩體)이며 꽃실은 구부러지고 암술은 1개이다. 삭과는 긴타원형이다.[5]
쓰임새
일본에서는 전초를 탈홍증에 사용하며, 한방에서 하포목단근(荷包牧丹根)이라 하여 생약으로 쓴다. 주로 관상용, 분화용으로 쓴다.[3] 어린잎을 살짝 데쳐 찬 물에 우려낸 뒤 나물로 무쳐 먹거나 된장국의 국거리로 쓴다. 꽃을 그늘에 말려 차로 이용하기도 한다.
금낭화 키우기
재배 및 관리
번식
씨로 번식하며,
키우기 장소
반그늘이면서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기른다.
키우기 난이도
키우기가 그리 까다롭지는 않지만 건조하게 두어서는 안 된다.
번식
보기가 좋다고 그대로 두면 포기가 작아지고 결국 없어지기도 하므로,2~3년에 한 번씩 포기를 나누어 자리를 옮겨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