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마리 키우는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bwWzsI/btrAVtsEmiY/nLM2Dyd8aftq6NyGfJwyf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qBol/btrASanBKCh/tjmd84DGkrkhN8Ht209WtK/img.png)
로즈마리는 꿀풀목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관목. 잎은 침엽수처럼 좁고 뾰족하며 꽃은 작은 편.
어원은 라틴어로 '바다의 이슬'이라는 뜻을 가진 'Ros Marinus'(로스 마리누스)에서 따왔다. 꽃은 온대기후 지방에서 봄철부터 여름철에 걸쳐서 피며 원산지는 지중해와 캅카스 지역이다. 높이가 드물게는 2 m까지도 자랄 수 있다.
로즈마리 키우는 법
상록관목이란 데서도 알 수 있듯, 제대로만 자란다면 큰 식물이다. 그러니 여건이 허락된다면 큰 화분에서 키워보자. 또한, 상록수에다 원산지가 남유럽이라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추위에 약하다.
로즈마리 월동
그러니 겨울에는 하우스에 들이거나 실내에 들여야 하고 햇빛을 잘 쬐여주어야 향도 좋아진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이 있기 때문에 노지에 식재해서 키우는 것은 조금이라면 조금 어렵다.[
온도
종류는 몇 가지 되는데 그에 따라서 꽃 색도 다르고 덩굴성인 것도 있으며 내한성도 차이가 있다 (-2℃ ~ -15℃).
![](https://blog.kakaocdn.net/dn/pneFq/btrAWBRwCOS/3IjlqxKOK9gz4WhlMvHyLK/img.jpg)
Rosemary
로즈마리는 향기가 아주 강하면서도 좋은 향이 나기 때문에 허브 중에서는 라벤더와 함께 투톱을 달리는 허브이며, 향기가 뇌를 활성화시키기에 옛날 유럽에서는 '학자의 허브'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실제로 기억력 증진과 강화에 대한 효과가 있다.
어원은 '바다의 이슬'이라는 라틴어에서 온 것이다. 꽃말은 "나를 잊지 마세요" 외에도 여럿 있다. 유럽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 집권기 즈음에 결혼의 정절과 사랑과 믿음의 상징으로 많이 이용되었고, 페스트가 유행할 적에는 병자의 침실에 공기 정화와 전염을 막기 위한 의식으로 이용했으며 빅토리아 여왕 때에는 지팡이에 로즈마리를 넣고 다니는 등 부적처럼 사용했다.또한 울타리에도 쓰였다. 결혼식에 로즈마리를 던지는 풍습도 있다고 한다. 하여간 여러모로 유럽에서 많이 사랑받는 허브다.
![](https://blog.kakaocdn.net/dn/DcvB1/btrAXCo7oUN/rQVbF8k1xVjLy9tkSgiG9K/img.jpg)
로즈마리 효능및 쓰임새
차를 마시면 혈압을 높이며 각성효과가 있어 밤에 못 자게 될 수도 있다. 약간 아린 맛이 혀에 남을 수 있으니 주의.
향신료로서는 고기의 비린내를 없애는 데 쓰인다.
목욕재나 포푸리로도 쓸 수 있다.
또한, 아로마 테라피나 향수의 원료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향이 시원해서 정신을 맑게 하는 기능 덕분인 듯. 가지와 잎에서 뽑아내는 로즈마리 오일에는 소량의 독성이 있는데, 임산부는 로즈메리나 자스민 등 향과 효과가 강한 허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로즈마리를 이용한 아로마테라피로 기대할 수 있는 효능은 집중력 강화, 탈모방지 및 육모, 혈액순환 등이다. 그래서인지 탈모관리 제품에 로즈마리가 들어있는 비율이 꽤 높다.
한국에서의 로즈마리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도입되어[9] 허브 분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또한 관상용, 식용, 약용, 향신료, 미용제, 방부제, 의학용으로 이용된다. 주로 생잎이나 말린 잎으로 차로 마시거나 고기 요리에 첨가한다.[11] 단, 너무 많이 넣으면 매우 강한 향이 나므로 유의하자. 많은 카페에서 에이드 같은곳에 로즈마리를 넣어주는데 먹으면 입에서 샴푸향이 난다
![](https://blog.kakaocdn.net/dn/nQ0wY/btrAYl8t2sw/3dImvyoCi2uCslEA3Crs1k/img.jpg)
3. 로즈마리의 종류
커먼로즈마리
커먼 로즈메리: 곧게 자라는 직립형으로 꽃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품종으로 상쾌하고 자극적인 향기가 난다. 거의 모든 꽃집에서 구할 수 있으며 꽃은 4년생부터 개화한다.
클리핑로즈마리
크리핑 로즈메리: 땅을 기어가며 자라는 포복형으로 꽃집에서 두 번째로 잘보이는 품종이고 잎이 커먼에 비해 작다. 전체적으로 커먼보다 작고 땅에 붙어서 자란다. 원한다면 곧게 자라게 할 수도 있으며 월동이 일반 로즈메리보다는 힘들고 꽃은 1년 생부터 개화한다.
토스카나로즈마리
토스카나 로즈메리: 곧게 자라는 직립형으로 한국에서는 커먼이나 크리핑 이외에는 구하기가 어려워서 잘 안보인다. 하지만 아예 없다시피한 다른 종들에 비해서는 화원을 돌아다니다 보면 다섯 군데 중 한 곳에는 있으니 원한다면 구할 수는 있다. 토스카나 로즈메리는 위의 두 종류에 비해서 상쾌한 향이 없이 묵직한 향이 나서 언뜻 향을 맡으면 별로지만 코를 대고 향기를 맡거나 마구 흔들어주면 제대로 향을 내는데, 그 묵직하고 중후하지만 굉장히 매력적인 향이 사람을 사로잡는다. 잎이 커먼보다 훨씬 크고 짙은 녹색을 띄며 꽃은 4년 생부터 개화한다.
4. 로즈마리 효과 및 효능[편집]
항균, 살균작용, 항염, 보습 및 진정효과, 각성효과가 있다. 집중력을 올려주는 각성효과가 있어서 학생들이 주로 마신다.
![](https://blog.kakaocdn.net/dn/pneFq/btrAWBRwCOS/3IjlqxKOK9gz4WhlMvHyLK/img.jpg)
5. 생태 및 재배
로즈마리 키우기
키우는 그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어느 허브나 그렇듯 조건을 잘 충족시켜줘야 한다.
햇빛
매일같이 바람과 햇빛을 쬐어줘야 한다.
물주기
못해도 3 ~ 4일에 1회 이상. 과습하면 뿌리가 썩고 이파리 끝이 검게 변해가기 때문에 물을 너무 자주 주면 안 되고, 겉흙이 말랐을 때 물을 흠뻑 주는 게 좋다.
흙
흙은 물이 잘 스며들면서도 쉽게 마르지 않는, 배수성이 좋으면서도 보수력이 강한 흙에서 키워야 하며, 중성 토양에서도 그럭저럭 잘 자라지만 약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기에 일반 분갈이흙 혹은 블루베리 전용 상토를 쓰는 것이 좋다.
비료
비료가 너무 많으면 새잎이 약간 노란빛을 띄는데 심하지만 않으면 생육에 지장은 없지만 그 이유로 비료를 더 줘야 할 이유는 없다.
바람
통풍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재배에 다소 제약이 따르는 식물이다. 실내에서 기르려면 가지치기를 무지막지하게 해줘야 한다. 안 그러면 제 향기에 제가 질식해 죽는다.
![](https://blog.kakaocdn.net/dn/dDc6Kb/btrAR9Wrx5h/xX3DMcSuyN4YofvMrBa78k/img.jpg)
로즈마리꽃
로즈메리의 꽃은 4년 넘게 키운 뒤에야 볼 수 있다. 허브류는 씨를 발아시키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가지를 꺾어 삽목을 하는 방법으로 번식을 시키는 게 더 쉽다. 이러면 유전형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전염병 같은 것에 취약해지기도 쉽다.
가지치기
가지치기를 하면 가지를 더 무성하게 만들 수 있다. 목질화가 안 된 가지를 잘라주면 끝부분에서 2개의 가지가 새로 돋아난다. 목질화가 된 가지는 오래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