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외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제주 특산식물인 ‘돌외’
맛은 약간 쓰고 약성이 있어 차로 마신다. 잎은 씹으면 단맛이 있어 수국차 같다고 해 감차덩굴이란 의미로 ‘덩굴차, 잎이 7장으로 나서 ’칠엽담‘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중국 진시황시대(기원전 210년) 서복이 한라산에 불로초를 찾아 제주에 왔다가 서귀포시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徐市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다.
2000년이란 세월이 지나 제주 특산식물인 돌외가 그 신비의 명약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돌외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베트남 북부에 이르는 산악지역에서 자란다. 이 지역에서는 돌외를 차로 즐겨 마셔 대부분의 주민들은 평균수명보다 더 오래 무병장수한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돌외를 불노초로 여긴다. 남쪽의 인삼으로 칭하기도 한다. 1986년 중국에서는 향후 개발 예정의 중국 여러 명품 약재 중 첫 번째로 꼽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잎을 식용해왔고, 민간에서 돌외는 뿌리는 약용으로 혈뇨, 부종, 목의 통증, 종양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돼 왔다. 최근에는 체지방 감소, 긴장완화 이외에도 콜라겐을 합성하는 화장품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죽본(竹本)의 연구에 따르면 돌외에는 약용인삼과 같은 유효성분이 있다고 한다. 추출된 성분은 50종 이상 사포닌으로서 그 중의 4종류가 약용인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진세노사이드이며,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의 쌍방으로 작용을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외 사포닌은 새롭게 발견된 것으로서 이들 신종 사포닌의 약리효과 성분으로 당뇨, 면역기능 및 스트레스 등에 좋다고 한다.출처 : 제주도민일보(http://www.jejudomin.co.kr)
학명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박목(Cucurbitales)
과 : 박과(Cucurbitaceae)
속 : 돌외속(Gynostemma)
개화기8월~9월
꽃색노란색, 녹색
형태다년생 덩굴초본
분포
한국(울릉도 및 남쪽 섬), 일본, 중국 남부
특징
전초의 맛은 약간 쓰고 약성(藥性)은 한(寒)하다. 한명(漢名)은 칠엽담, 상품명은 덩굴차라고 하나 돌외라고 하는 것이 옳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양면에 다세포로 된 백색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소엽은 보통 5개이지만 3-7개인 것도 있으며 좁은 난상 타원형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고 정소엽은 작은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4-8cm, 폭 2-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표면 맥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꽃은 8-9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원뿔모양꽃차례 또는 총상 원뿔모양꽃차례로서 길이가 8-15cm이다. 꽃받침열편이 아주 작고 꽃부리는 5개로 갈라지는데 열편은 길이 3mm 정도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열매
장과는 지름 6-8mm이고 둥글며 흑록색으로 성숙하고 상반부에 1개의 횡선이 있으며 종자는 길이 4mm 정도이다.
줄기
마디에 흰털이 있고, 이리저리 엉켜서 자라지만 덩굴손으로 기어 올라가기도 한다.
생육환경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번식방법
삽목, 종자, 조직배양한다.
이용방안
• 차의 원료이며 건강약초로서 비만, 신경통, 고혈압에 효과가 있고, 중국에서는 만성기관지염, 지해(止咳), 거담(祛痰), 소염해독 치료에 쓰인다. 부작용으로 오심(惡心), 구토, 어지럼증, 복창, 이명 등이 나타나며 암에는 큰 효과가 없다.
돌외효능---
1.만성기관지염
2.위궤양
3.고혈압
4.대뇌진정
5.당뇨병을 치유한다--
• 根莖(근경) 또는 全草(전초)를 七葉膽(칠엽담)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9-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Sterol, 糖류(당류), 색소, 配糖體(배당체) 등을 함유한다.
③ 약효: 消腫(소종), 해독, 止咳(지해), 祛痰(거담)의 효능이 있다. 만성기관지염을 치료한다. 粉末(분말)을 만들어 복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돌외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나무 영실의 효능 찔레순 찔레꽃 먹는법 (0) | 2022.05.01 |
---|---|
부지깽이나물 효능 (0) | 2022.04.29 |
간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 (0) | 2022.04.28 |
개두릅 음나무순 (엄나무순 ) 효능 음나무잎 먹는법 (0) | 2022.04.27 |
땅두릅 효능 (1)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