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모과차 가래 기침 천식에 좋은 모과 효능

by 아이루스 2022. 11. 19.
728x90
반응형

가래 기침 천식에 좋은 모과차 모과 효능그런데 변비에 걸린 사람은 모과가 좋지 않다고 한다. 

 

모과 영어
모과효능
모과차
모과나무
모과꽃
모과형

 

 

 

모과(木瓜)는 장미목 장미과 식물 모과나무의 열매다.

木瓜라고 쓰지만 목과가 아니다. 활음조 현상 참고. 일반적으로 목과는 모과를 말려서 약용한 것을 말하며, 목과는 그 성질이 따뜻해서 근육의 굴신 장애와 각기병 그리고 토사곽란에 쓰인다. 더하여, 중국어로 木瓜는 파파야를 의미한다.

강원도 사투리, 경상도 사투리, 전라도 사투리로 모개라고도 한다.

 

 

모과 특징[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자란다. 한반도에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조선시대 이전으로 추정된다. 주 재배지는 전라남도, 충청남도, 경기도 일대. 장미과의 낙엽성 활엽 과목.


그 생김새와 크기가 큼직한 배와 같다. 모과의 표면은 울퉁불퉁하여 흔히 못생긴 과일의 대명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속담에선 과물전(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다 시킨다면서 어물전의 꼴뚜기와 같은 취급을 받는다. 그래서인지 모과가 들어가는 모든 속담은 모조리 모과를 보고 못생겼다, 못났다고 말하며, 사람을 모과에다 빗대면 나쁜 경우에는 꼬인 사람, 어딘가 뒤틀려있는 사람, 못난 사람이라는 의미가 되고, 좋게 말해도 못생겼지만 착하고 좋은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모과에 붙는 또 다른 수식어는 '세 번 놀라는 과일'이다. 꽃이 아름다운데 비하여 열매는 못생겨서 한 번 놀라고, 못생긴 열매가 향기가 매우 좋아서 두 번 놀라고, 향기가 그렇게 좋은데 비하여 맛이 없어 먹을 수가 없어서 3번 놀란다고 한다. 거기에 과실이 아니라 목재도 목질이 좋고 한약재로도 사용하여 쓰임새가 많아서 네 번 놀란다고 하기도. 못생긴 생김새에 비해 향이 좋고 쓰임새가 많아 예로부터 방향제, 차 등으로 애용되어 탱자는 매끈해도 거지의 손에서 놀고, 모과는 얽어도 선비의 손에서 논다라는 속담도 있다. 모과가 들어간 속담 중 모과를 칭찬하는 속담은 이것뿐이며, 칭찬에도 못생겼다는 말은 빠지지 않는다.

모과의 껍질은 목질이기 때문에 단단해서 자르기가 어려운 과일에 속한다. 웬만한 남자들도 자르기 어려워하는 과일이라고 할 정도다.

 


모과 쓰임새 

 


못생긴 외모와는 달리 쓰임새가 많은 과일이다.

 

1.향이 매우 좋기 때문에 그냥 열매만 방에 놓아둬도 방향제로 쓸 수도 있고 심신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식용은 가능하나 생과의 맛이 시고 떫기 때문에 보통 생으로는 잘 안 먹고 꿀이나 설탕에 재어서 모과차로 마신다.

 

3.꿀에 졸여서 과자의 일종인 정과로 만들어 먹는다.

 

4. 술로도 담그며, 한방에서는 약으로 쓴다.

 

서양에선 가공을 하여 잼으로 만들거나 절여서 파이로 만드는 경우도 있으며, 미군의 전투식량으로도 모과 잼이 보급된 적이 있었다. 또한 모과의 종류 중 구워서 먹는 모과도 있으며 별미라고 한다.

 

모과효능

 

1. 기관지 질환이나 가래 그리고 천식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2. 소화작용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3. 더하여 숙취해소에도 매우 좋다.

 

4. 비타민C와 탄닌성분 많아 피로회복에도 좋으며 근육을 부드럽게 해주기에 과로로 인한 근육통 완화에도 좋다.

 

5.또한 모과속 프록토오스 성분이 간과 신장에 좋은데, 특히 알콜로 인한 간회복에 도움되오니 숙취해소로도 좋다.

 

 

 

모과의 과육은 소화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기 때문에 설사를 하거나 배가 더부룩한 증상, 트림이 자주 올라오는 사람, 가슴 밑이 갑갑한 증상에 좋다. 구역질이 나거나 자주 체하는 사람이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모과의 뿌리나 가지는 약재로도 쓰이는데 쥐가 자주 날 때 달여서 복용하고, 잎은 설사약으로 쓰인다. 모과 씨 속에는 청산이 들어있어 아주 소량만 투여하면 기침을 줄이고 숨찬 증상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씨는 독성이 있어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섭취하지 않는 게 좋다.


다만, 모과 안에는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는 타닌 성분이 많기 때문에 변비가 심한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태음인이나 소음인 체질인 사람도 모과를 먹으면 기운이 더 많이 가라앉을 수 있어 삼가야 한다.

 

모과꽃 

옅은 붉은색의 모과꽃은 여성의 화장품으로도 사랑받아 왔다. 완전히 꽃이 벌어지기 전에 따서 찧은 다음 팩을 하면 피부가 하얗게 되면서 윤기가 난다. 고서에는 젊은 여성들이 서로 모과꽃을 따기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섰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다.

반응형


모과차 만드는 법 


보통 편으로 썰어 말린 뒤 약재로 사용하거나 차로 우려먹는다. 모과 특유의 진한 향은 차로 우리면 배가 되는데, 다른 차와 달리 조직이 단단해서 끓인 후 마셔야 향이 더 잘 우러난다. 2mm 가량의 두께로 모과를 얇게 썰어 말려 두었다가 생강 한쪽을 같이 넣고 끓이면 홍차 빛을 띤 모과차가 된다. 

 

모과청만드는법 
생모과를 얇게 저며서 설탕이나 꿀에 재우는 모과청을 담가 먹기도 한다. 모과청을 만들 때에는 모과 껍질에 향이 나는 성분이 더 많아 껍질째 담그는 것이 더 좋다. 백설탕을 사용하면 특유의 모과향을 살릴 수 있다. 

 

모과주 만드는 법 
모과주는 모과를 얇게 썰고 소주를 모과의 3배가량 부으면 된다. 이때 포도당이나 설탕을 모과의 5분의 1에서 3분의 1 가량 넣고 3개월 정도 지나면 숙성이 되는데, 모과를 건져내고 밀봉해서 서늘한 곳에 두면 위스키 모양의 고운 빛깔이 난다.

출처 : 백세시대(http://www.100ssd.co.kr)

 

 

728x90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약 가브스정  (1) 2022.11.26
푸른보약 은행 효능  (1) 2022.11.20
파키슨병  (0) 2022.11.18
굴 제철 굴 효능  (0) 2022.11.18
위내시경 금식시간  (0)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