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 키우기 수국꽃말 수국 삽목
수국
수국(水菊)은 수국과의 갈잎떨기나무이며, 초 여름에서 무더운 여름 중순까지 피는 꽃이다. 본래는 중국 원산이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자생군락이 발견되지 않으며, 일본에서 품종개량이 많이 되었다. 만화경, 미카의 물떼새 등 특이한 이름으로 판매 중. 시중에서 파는 수국보다 꽤 비싸지만 정말 풍성하고 아름다운 꽃이 피어 일본 수국은 항상 인기가 많다.
수국꽃말
수국 꽃말은 냉정, 냉담과 무정, 변덕, 변심이다.
또, 위와는 다른 수국꽃말은 진실한 사랑, 처녀의 꿈,, 진심인내심이 강한 사랑 (辛抱強い愛情) 이다.
서로 반대되는 꽃말이 많은 수국꽃말이다
또한 꽃의 색으로 토양의 pH를 확인할 수 있는데 정상토양에선 핑크색, 산성토에선 푸른색을 띈다.
수국이란 중국명의 수구(繡球) 또는 수국(水菊)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보며, 옛 문헌에는 자양화(紫陽花)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현재 중국은 수구만을 사용하고 수국 및 자양화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학명은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 et Z.) WILS.이다
일본어로는 紫陽花(자양화)라고 쓰고 アジサイ(아지사이)라고 훈독한다.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한 포기에서 갈라져 자라며 어린 가지는 녹색으로 굵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꼴로 길이 8~15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삼각형 모양의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은 약간 두꺼운 편이며 매끄럽고 광택이 나서 겨울에도 그대로 있을 것 같지만 가을에 잎을 떨군다. 꺾꽂이도 되고 옮겨심어도 잘 자라므로 키우기 쉽지만, 습기가 많고 비옥한 땅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추위를 타는 편이므로 한반도의 중부 지역에서는 정원보다 화분에 많이 심지만 사실은 노지에 심어도 괜찮다.
수국키우기
어떤 식물이든 빛과 통풍이 가장 중요하다.
수국 은 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키워 주는 것이 좋다.
화분으로 실내에서 키울 경우 직사광선보다는 밝은 곳에서 키우는 것좋다.
통풍을 자주 시켜 수국이 바람을 많이 씔 수 있도록 해준다.
초여름, 즉 6월 무렵에가지 끝에서 둥근 모양인 꽃차례를 이루어 꽃이 피는데 꽃은 처음에 흰색으로 피기 시작하지만 점차 청색이 되고 다시 붉은 색을 더하여 나중에 보라색으로 변하는데 토양의 성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즉 자체적인 색소에 의해 꽃의 색이 결정되는게 아니다.]고정적인 특정색을 내려면 토양 관리를 잘 해줘야한다.이런 수국꽃의 변화를 일으키는 성분은 '델피니딘(delphinidin)' 이라고 한다.
그리고, 수술과 암술은 퇴화하여 작고 열매는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야생형 수국(일본명:ガクアジサイ) 은 열매를 맺는다 꽃을 피우고 저물때쯤 잘 잘라서 정리를 해줘야 다음해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2 ~ 3년간 그냥 깻잎을 키우게 될지도...
한국이나 일본의 문학작품이나 영화에서 초여름을 상징하는 꽃으로 자주 등장하고 특히 꽃피는 시절이 장마철과 겹치므로 비를 맞는 남색 수국꽃이 서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않다.
수국꽃 꽃피는 시기가 장마철과 겹치는 이유는 수국이 요구하는 물의 양이 많을 정도로 물을 많이 먹는 식물이기 때문다.
관상용으로 널리 알려지고 많이 계량되었기에 현재 개량종 수국들은 그 꽃의 색감과 모양이 매우 다양해졌다.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수국 품종 목록. 등록된 품종만 해도 많지만 장미나 국화처럼 계속 품종개발이 진행중이다. 품종에 따라 꽃의 기본색상과 모양 뿐만이 아니라 질 때의 색상까지도개량으로 세세하게 구분된다.
꽃 하나하나는 작지만 여러개가 모여서 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크고 탐스러운 꽃다발을 이루어, 노지 관상용은 물론 실내 소품용으로도 쓰이거나 부케 등에도 애용된다. 최근에는 꽃잎 부분만 작게 오려내어 가공해 하바리움 등에 쓰기도 한다.
향수엔 수국향을 표방한 상품들이 있지만 흔히 보는 수국은 씨 없는 수박의 꽃버전, 무성화이기에 향기가 없다. # 동일조상에서 갈라지게된 산수국의 경우 차로 마시면 향이 있지만 이건 산수국꽃의 진짜 향이 아니라 잎을 가공해서 만든 차에서 나는 향이다.
수국과 비슷한 식물이 몇 있는데, 수국이 유명하다 보니 이들이 수국으로 오인되는 일이 잦다.
가장 유명한 게 꽃모양이 유사한 불두화란 식물이다. 다른 식물이지만 백수국과 불두화의 꽃이 매우 흡사하다. 잎의 모양을 살펴보면 수국은 끝이 갈라지지 않은 깻잎 모양이고 불두화는 중도에 3갈래로 갈라져서 구분 가능. 그리고 수국과 불두화 모두 야생에 있는 원종을 개량해서 가짜꽃 부분만 엄청 키운 채로 품종을 고정시켰기에 둘 다 종자번식을 못해 다른 식으로 인공번식시킨다.
이밖에도 설구화, 백당나무 등이 수국과 비슷한 식물로 꼽힌다. 둘 다 꽃잎이 흰색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좀 더 확실하게는 백당나무는 뚜렷하게 나뭇잎이 세 갈래로 갈라지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설구화는 층층나무목인 수국과 달리 꼭두서니목으로 상당히 거리가 있음에도 수국과 대단히 비슷한데, 심지어 잎까지 깻잎과 비슷해서 행여나 수국이 흰색이라면 더욱 분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설구화의 잎이 좀 더 둥근 편이다.
꽃의 생김새가 예쁘기 때문에 주로 관상용이나 장식용으로 쓰이며 뿌리는 약으로 쓴다. 뿌리에 함유된 할로푸지논은 여러가지 자가면역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성분이라고 한다.
수국차
수국과 식물중 산수국 혹은 수국차(식물 이름 자체가 수국차)라 부르는 특정 수국의 잎은 말려서 차로 만들어 마실 수 있다.이 '수국차' 라는 식물로 만든 차를 감로차(甘露茶)혹은 이슬차라고 한다. 단 맛이 나는 게 특징이다. 단 맛이 난다고 너무 많이 마시지는 말자. 담석이 생기기 때문에 탈난다
수국차는 단맛이 남에도 당이 몸에 흡수되지 않기에 다이어트 중 단 음료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으며 단맛이 남에도 혈당이 오히려 낮아지는 효과까지 있어 당뇨병 환자들에게 좋은 차라고 한다. 이는 수국차의 감미성분[19]이 필로둘신(phyllodulcin)[20]이라는 성분이기 때문인데, 필로둘신은 수국차의 잎이 건조되기 전엔 배당체의 형체로 함유되어있다가 수국차의 잎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효소작용으로 분해되면서 본격적으로 단맛을 내는 성분이 된다.
그래서 수국차를 적당히 우려내고 먹으면 은은하게 단 맛을 느낄 수 있지만, 필로둘신의 단맛은 매우 강한 편이기에[22] 잠시 수국차를 달인 물을 방치하면 처음 먹을 때보다 매우 달게 느껴지는 걸 알 수 있다.[23] 그런고로 단 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그닥 맞지 않는 차다.
그렇지만 수국차의 경우 다른 차와 섞어서 타도 자연스러운 단맛이 나는데다가 향이 강하지 않은 편이어서 향기가 좋지만 쓰거나 신 차를 마시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의 경우 섞어서 타먹어도 된다이렇게 티백 두 개를 담궈놓은 찻물 안에서 단 맛이 살짝 우러나올 정도로만 수국차 티백을 담궈줬다가 컵 밖으로 빼면, 설탕 없이도 단 맛이 감도는 차를 맛볼 수 있다
주의할 점으로 수국차라면서 일반 관상용 수국을 쓰면 안 된다. 온통 쓰고 떫은 맛인데다 수국은 유독 식물이기 때문. 산수국(수국차)은 수국보다 식물체도 작고, 잎이 더 길다. 무엇보다 수국은 꽂 전부가 장식꽃으로 무성화이지만, 산수국은 꽃차례의 외곽부분만 무성화고 안쪽은 열매를 맺는 진짜 꽃이다. 산수국은 수국처럼 키우기도 하지만 공원 등에서 야생으로 자라기도 한다.
수국축제 유명한곳
태종대 태종사, 거제도 해안도로, 하코네 등산철도 주변의 수국이 유명하다고 한다. 사찰 주변에 잘 심는 꽃이며 기르기 쉬운 편이라 정원이나 조경에 잘 이용된다.
요새는 토질에도 상관없이 화색이 고정된 품종이 나오고 있지만 토질에 따라 색이 바뀌는 꽃의 경우 품종으로 등록 할 때 푸른색을 배제하고 등록한다고 한다.
수국삽목
수국은 봄부터 가을까지 언제든지 삽목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수국 삽목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장마철과 꽃이 지고 난 직후이다.
지금이 장마철이니 수국 삽목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수국삽목시 중요점
수국 삽목할때 화분은 넉넉한 걸로 준비한다.
그리고 토분이 제일 좋다.. · ·
베란다에서 키울때 흙은 무균상태가 가장 좋다.
수국삽목하기
1. 수국 줄기 중 튼실하게 잘 뻗는 줄기를 고른다 ·
2. 줄기를 골라 잘라요. ·
3. 가지를 잘라준다.
4. 잎을 2~3잎만 남겨두고 잎을 모두 정리한다.
5.물을 흠뻑 준다 물을 말리지 않는 것이 중요
6. 흙을 담은 화분에 수국을 꽃아주고 물을 흠뻑 준다.
수국 삽목하기 끝이다.
'식물&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일홍 이라고 불리는 배롱나무 꽃 (0) | 2022.06.29 |
---|---|
일일초 키우기 (0) | 2022.06.27 |
자리공 미국자리공 (0) | 2022.06.24 |
백일홍 백일홍 꽃말 (0) | 2022.06.24 |
능소화, 능소화 꽃말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