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꽃&나무

금화규 식용꽃 금화규꽃

by 아이루스 2022. 8. 25.
728x90
반응형

 

작년에 금화규꽃을 차로 마셨더니 콜라겐 덩어리인것을 알게되어

올해  금화규 식용꽃이라 재배하기 시작했는데

올해 비가 너무 안와

가뭄으로 

노란 금화규꽃 재배 실패

내년을 기대해 봐야겠다~

 

노란무궁화 황근을 닮은 금화규꽃

 

 

 

 

 

금화규

식물 콜라겐이 다량 함유돼 '미용차(茶)' 인기가 많은 식물 금화규꽃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 이름

일년생 초본식물로 황금해바라기, 야생부용 등으로 불려진다.

 

건강식품 금화규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귀한 약재식물로 그 약용가치 때문에 1980년대 멸종된 것으로도 전해지기도 했지만, 종자가 발견되고 새롭게 건강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게 된다.

 

금화규 자라는 토양
내한성과 내열성을 고루 갖추며 습기가 많은 알카리성 토양에도 잘 자란다. 제주에서는 애월 인근에 자생지가 확인된다.

 

금화규 효능
본초강목에 따르면 금화규는 독이 없으며 열을 식히고 해독해 인체에 쌓이는 습열을 제거한다. 

 

혈압을 낮추고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고 전한다.

해열해독, 장운동을 돕고, 소염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피로회복과 혈압을 낮추는 효능도 있어 '장수초'라고 불린다.

장기간 복용하면 발기부전, 조루, 성욕 저하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보고돼 식물 비아그라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돼있는 식물로 '미용차'로 각광을 받는다.

금화규꽃에 풍부하게 함유된 플라본이 진통, 항뇌결혈과 구강궤양 등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혈액순환 개선 및 항산화, 항피로, 노화방지, 항암 등의 효능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출처 : 제주도민일보



 
닥풀(Hibiscus manihot L.)

과명 : 아욱과

영명 : Sunset hibiscus

이명 : 금화규, 당촉규화, 황촉규, 촉귀

일본명 : ドロロアオイ



닥풀(금화규)은 아욱과의 일년생 초본 식물이다. 높이는 약 1~1.5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엽신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잎의 열편은 피침형 또는 거꿀 피침모양을 하고 있으며,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밑부분의 것은 엽상포이지만 위로 갈수록 포가 작아진다. 꽃밑에 있는 작은포는 4~5개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나중에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기와장을 인 모양으로 겹쳐지고 많은 세로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수술은 단체(單體)이며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고 흑자색을 띤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둔한 능선과 더불어 굳센 털이 있고 종자는 원숭이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다. 줄기는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없다. 뿌리는 점성이 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종이를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이의 원료를 잘 붙게 하여 종이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얇으면서도 질긴 종이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재료로 사용되었다.

닥풀은 중국이 원산지이며, 황촉규, 금화규로 불리며,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식품 원료로서는 닥풀의 잎만 식용이 가능하며, 약용으로는 잎, 뿌리, 줄기, 잎, 종자 등 다양한 부위가 사용된다. 제주도에서는 일부 농가에서 소량이 재배되고 있으며, 야생에서는 분포하지 않는다.

품종에 따라 꽃은 붉은색 또는 푸른색을 띄기도 하며, 기본종과 비교하여 포엽에 노란색 가시털이 있는 종류를 [var. pungens (Roxb.) Hochr.]로 구분하는 종이 있으며, 이 종은 중국 남부지역과 인도, 태국, 필리핀 등지에 자란다. 무궁화속(Hibiscus) 식물중에서 유사종은 부용, 무궁화, 황근, 수박풀이 있으며, 부용, 무궁화, 황근은 잎의 깊게 갈라지지 않으며, 수박풀은 키가 30cm~60cm로 작게 자라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구분하기 쉽다.



금화규꽃차 마시는법



금화규꽃 3~4송이를

주전자에 물을 넣고 끓입니다.



금화규 효능 ​

신체 면역력을 증가십니다.

진통제 역할을 합니다.

황뇌, 허열, 구강궤양치료, 염증치료,



저산소증 ,신체향산화 ,



심혈관및미세혈관혈류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항심장허열, 항피로 노화방지



항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식물&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뚱딴지 돼지감자 꽃 피다  (0) 2022.08.31
맥문동  (0) 2022.08.28
버베나  (0) 2022.08.09
몬스테라 키우기  (0) 2022.08.03
후박나무  (0) 20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