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꽃&나무

들깨심는 시기

by 아이루스 2022. 5. 6.
728x90
반응형

들깨심는 시기

작년에 들깨를 뿌리고 남은 씨앗 

올해 들깨씨를 뿌리려고 한다. 

 

들깨심는 시기 알아보고 

들깨를 심어 올해도 깻잎을 마음껏 따먹어보려고 한다

 

사실 들깨키우기 깻잎먹기까지는 어렵지 않다. 들깨기름을 짜려면 들깨를 잘 키워야 하지만 말이다

 

들깨심는 시기

들깨를 직파(땅에 바로 뿌리기)할 경우 파종적기는 중북부지역은 6월 중순이며, 남부지역은 6월 하순까지 입니다. 

 

파종 2주 전에 질소, 인산, 가리, 토양살충제 등을 포장 전면에 골고루 뿌린 후 경운작업을 합니다. 심는거리는 사람이 직파할 경우 휴폭(이랑너비) 60㎝에 주간거리(포기사이) 25㎝가 적당하고, 한 구멍에 5~6알정도 심습니다. 파종량은 10a당 300~500g이 알맞습니다. 초기 발아(싹틈) 후에는 가장 건강한 1개체만 남기고 솎아줍니다.(흩어뿌림도 가능하나 종자가 많이 소요되므로 가능한 한 점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들깨는 파종시기가 늦고 옮겨심기가 가능하므로 담배, 양파, 마늘, 보리 등의 작물과 앞뒤 재배가 가능합니다.
양파는 남부지역에서 가을재배로, 마늘은 중부지역에서 보통재배로 10월 상순~11월 상순에 파종되어 이듬해 6월 중순~7월 중순에 수확 합니다.

파종시기가 늦어질 경우 주간거리를 좁게 하면 수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들깨는 초여름에 파종하여 여름 장마가 지나가는 중간, 비가 잠시 멎을 때 아주심기한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초가을에 지나가는 태풍에 피해가 많고, 너무 늦어지면 얻는 것이 부실하다. 잎을 먹기 위해서 재배하는 잎들깨는 아래의 재배시기와는 별도로 4월 말에 파종하여 5월 중순에 아주심기한 다음 7월부터 잎을 이용한다. 들깨는 작은 규모의 텃밭에는 별로 어울리지 않는 작물이다. 작은 규모의 텃밭에는 잎을 먹는 깻잎용 들깨를 길러볼 것을 권한다. 최소한 털어서 기름을 짤 정도의 양이 되어야 심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

들깨파종시기


들깨파종 시기 
파종 준비(모종용 들깨)
파종하기 2~3주 전에 1㎡당 100g 정도의 석회나 고토석회를 넣고 살짝 일군다. 일주일 뒤에 1㎡당 3㎏ 정도의 퇴비를 넣고 밭을 일구어 이랑 폭이 1m, 두둑의 높이가 10㎝ 정도 되게 준비해둔다. 이랑의 폭과 높이는 밭의 형편에 따라 물 빠짐이 잘 되도록 적당하게 한다.

씨앗 및 모종 준비
지난해 수확하여 남겨둔 종자용 씨앗을 사용하거나, 시골에 연고가 있으면 전통적으로 재배하던 종자를 구한다. 아니면 종묘상이나 인터넷을 통해 자료를 조사한 후 구입한다. 모종을 가꾸지 못했을 때는 지역의 전통 5일장에서 판매하는 모종을 구입해서 심어도 된다.

파종 및 흙덮기
준비된 밭에 10㎝ 정도의 간격으로 폭이 10㎝ 정도 되는 골을 만들고 씨앗이 1~2㎝에 하나씩 골고루 떨어지게 흩뿌린 다음 가볍게 5㎜ 정도 흙덮기를 한다. 흙덮기가 끝나면 위에 짚을 골고루 덮어 주고 물을 흠뻑 뿌려준다. 이때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날아갈 염려가 있을 때는 막대 등으로 짚을 눌러준다. 사실 들깨는 아주 동글동글하여 위에서 말한 것처럼 몇 센티미터 간격으로 뿌린다는 것이 아주 어렵다. 그냥 쉽게 손으로 씨앗을 잡고 흩어 뿌리고 쇠갈퀴로 가볍게 긁어 주면 복토도 적당하고 나중에 발아도 골고루 잘된다. 짚이나 풀 등으로 위를 덮어 주는 것은 습기를 보존하여 발아를 높이고 새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모종 자라는 모습
파종 후 4~5일이 되면 일제히 싹을 틔우게 된다. 이때 위에 덮었던 짚이나 피복물을 제거한다. 제거는 되도록 해질 녘에 하여 햇볕에 의한 충격을 줄이는 것이 좋다. 피복물의 제거가 늦어지면 발아된 새싹이 웃자라 모두 쓰러져 말라 죽는다. 이것을 도장이라 한다.

파종 2주가 지나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들깨 모종의 모습이 보인다. 이때는 비가 오지 않으면 물을 뿌려주어야 한다. 2일 간격으로 물을 주어야 성장이 빨라진다. 들깨 모종뿐만 아니라 주변의 풀도 잘 자란다. 풀이 자라는 것을 보고 있으면 들깨 모종보다 훨씬 잘 자라 난감해진다. 풀은 보이는 대로 정리해 모종이 잘 자라게 도와주어야 한다(강아지풀, 바랭이, 명아주, 쇠비름, 참비름 등).

파종 4주 들깨 모종
솎아내기
파종이 고르게 되지 않아 싹이 많이 나는 곳이 있다. 이런 곳은 솎아주어 사방 2~3㎝ 간격에 하나의 포기가 자라도록 한다. 너무 배게 자라면 전체적으로 연약한 포기가 되어 줄기가 약해지면서 키만 위로 삐쭉하게 자라는 모종이 된다. 이렇게 연약하게 자란 모종은 나중에 옮겨 심을 때도 힘들고 심은 후 자리를 잡는 데 오래 걸린다.

파종 3~4주 이후의 모종 중에 아주 밴 곳의 들깨는 솎아내어 잎을 이용해도 되고, 줄기째 데쳐서 나물로 써도 된다.

아주 심을 밭 준비
모종을 파종한 지 2주 정도가 지나면 어디에다 옮겨 심을지 결정해야 한다. 감자를 수확한 밭이나 봄 시금치를 수확한 밭 또는 밀, 보리를 수확한 장소가 있으면 그곳에 심으면 된다. 이런 곳은 전작물의 거름이 조금 있으므로 거름을 따로 넣지 않고 심는 것이 좋다. 들깨는 특별하게 거름을 넣지 않아도 된다. 지나치게 거름을 하면 들깨가 키만 커버리기 때문이다.

언젠가 밀을 수확한 곳에 들깨를 심은 적이 있는데 밀이 자라는 봄에 웃거름으로 뿌린 깻묵 때문인지 그곳의 들깨는 키만 자라고 알이 별로 차지 않았다. 들깨는 특별히 장소에 대한 구별을 하지 않으므로 마땅하게 심을 것을 찾지 못한 장소에 모종을 심어두면 좋다. 따로 고랑을 만들 필요도 없으며, 둑이나 밭의 경계부에 심어도 된다.

아주심기

파종 3주 이후가 되면 성장이 빠른 들깨 모종은 아주심기를 해도 된다. 되도록 어린 모종을 심어야 옮김 몸살이 수월하게 지나간다. 모종을 옮겨 심는 가장 적절한 시기는 파종 4주쯤 되었을 때 비 오기 전후가 좋다. 한곳에 두 포기를 심는 것이 무난하며, 간격은 사방 40㎝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간격이 좁으면 위로 성장을 하고 간격이 넓으면 옆으로 성장을 많이 한다.

비가 오지 않으면 들깨를 옮겨 심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다. 모종밭에 물을 흠뻑 뿌려 뿌리가 많이 다치지 않게 모종을 뽑아야 하고, 정식할 곳의 밭을 호미로 파고 이식한 후 물을 주어야 하기에 무척이나 힘든 작업이 된다. 들깨를 정식할 시기가 되면 비가 자주 오는 장마철이라 그다지 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모종 휘어심기
키가 큰 들깨 모종을 옮겨 심는 요령을 알아 두면 매우 요긴하다. 어쩌다 보니 옮겨 심을 시기를 놓쳐버린 모종은 하루가 다르게 키만 커버린다. 키 큰 모종을 심으려면 여간 고역이 아니다.

이때는 아래의 그림처럼 휘어서 심으면 아주 좋다. 이때 너무 휘게 하면 모종이 똑 부러져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부러지지 않게만 주의하고 심어 두면 휘어진 곳에서 뿌리가 내려 잘 자라게 된다. 이 경우 원래의 뿌리와 휘어져 꺾인 부분에서 각각 뿌리가 발달하여 잘 자라게 된다.



흙덮기

장마철을 지나면서 비를 맞고 잘 자란다. 아주 심고 1개월이 지나면 잎을 수확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가 되면 장소에 따라 풀이 많은 곳은 한차례 뽑아 들깨 밑에 둔다. 그러면 들깨는 그 이후에 돋아나는 풀을 완전히 제압하고 터전을 잡는다. 이렇게 해두면 더 이상 풀을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8월 말이 되면 키가 큰 곳은 1.5m 정도까지 자라 들깨밭에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이때쯤이면 한차례 태풍이 지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태풍이 심하게 지나가면 쓰러진 들깨가 보이기도 한다. 세워주고 흙을 조금 북돋워주면 다시 힘차게 자란다.

9월 중순이 되면 꽃대가 올라와 꽃이 핀다. 하얀색의 들깨꽃이 피고 벌들이 어지러이 날아다니기 시작한다. 9월 말이면 하얀색의 들깨가 꽃망울 안에 자리를 잡는다. 이때는 들깨밭의 바닥이 온통 흰 꽃이 떨어져 눈이 온 것처럼 보인다.


10월 초순이 되면 열매가 든 들깨가 무거워진다. 이때 비가 조금 오고 바람이 불면 쓰러지는 들깨가 생긴다. 쓰러져도 세울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가만히 두면 쓰러진 채로 열매를 영글게 된다.

들깨 잎이 노랗게 물들고 들깨를 감싸는 꼬투리가 약간 검게 변색되면 들깨를 베어 말려야 하는 시기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들깨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2012. 3. 2., 박원만, 김인경)

들깨심는시기에 딱 좋은날이다.

준비된 땅에 그냥 마구뿌리기를 할 생각이다.

 

728x90
반응형

'식물&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버이날 선물 카네이션  (0) 2022.05.08
해당화  (0) 2022.05.07
카네이션 물주기 저면관수로 카네이션 키우기  (0) 2022.05.05
붓꽃 피다  (0) 2022.05.04
다래나무 묘목에 다래꽃 피다  (0)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