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 定宗 ]
조선 제2대 왕(재위 1398~1400). 제1차 왕자의 난이 수습된 뒤 왕위에 올랐으며, 재임 2년 후 보위를 이방원에게 양위하였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출생-사망1357 ~ 1419
재위기간1398년 ~ 1400년
가족관계
왕비 정안왕후(定安王后), 아버지 태조(太祖), 어머니 신의왕후(神懿王后)
출생과 세자책봉
자 광원(光遠), 휘(諱) 경(曔), 초명 방과(芳果)이다. 태조의 둘째 아들로 출생했다. 비(妃)는 김천서(金天瑞)의 딸 정안왕후(定安王后)이다. 성품이 인자하고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고려 때 아버지를 따라 북방의 전투에 참가하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조선 개국 뒤 영안군(永安君)에 책봉되었다. 방과는 권력을 지향하는 기질은 아니었기에 태조 이후 왕자의 난으로 발생한 풍파를 겪지 않았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난 결과로 세자로 책봉되었다.
조선 제2대 왕으로 등극이후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지만, 정치적 실권을 행사할 처지는 아니었다. 신도(新都) 한양(漢陽)에서 일어난 형제간의 골육상쟁, 즉 제1차 왕자의 난으로 권력투쟁의 장(場)이된 한양을 떠나 구도(舊都)인 개경(開京)으로 돌아갔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수습된 뒤 실세인 동생 정안군(靖安君, 이방원)을 왕세제로 삼을 수 밖에 없었고 이방원의 뜻에 따라 왕족 ·권신(權臣) 등이 기르던 사병(私兵)제를 폐지하여 삼군부(三軍府)에 편입시키면서 지방 세력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며 왕권을 강화하였다. 하륜(河崙)의 건의에 따라 관제를 개혁하고, 한양의 5부에 각각 학당(學堂)을 설립하였다.
실권이 없는 왕
정종의 정치적 판단과 결정은 거의 동생 이방원의 뜻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정종은 재위 기간동안에 정무보다는 격구 등 오락에 심취하였으며 그의 이런 행동은 이방원을 안심케하는 효과가 있었다. 즉위한 지 2년 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으로 추대되었는데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왕위에서 물러난 뒤 인덕궁에 거주하면서 사냥과 격구, 연회, 온천여행 등으로 세월을 보내다 1419년 6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정종은 사망 후 묘호도 없이 공정대왕으로 불리다가 1681년(숙종 7년) 정종이라는 묘호를 받았다. 능은 개풍군의 후릉(厚陵)이다.
정종 [定宗] (두산백과)
조선왕계보도
1대 태조
1392-1398
이성계, 조선의 제 1대왕
2대 정종
1398-1400
1대 태조의 둘째 아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립.
3대 태종
1400-1418
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사병을 없애고 관직 제도를 개혁함.
4대 세종
1418-1450
3대 태종의 셋째 아들. 훈민정음을 창제함.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 전 분야를 발전시켜 조선의 황금시대를 연 성군.
5대 문종
1450-1452
4대 세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학문을 좋아한 왕.
6대 단종
1452-1455
5대 문종의 아들. 정치적 야심에 희생된 비운의 소년 국왕.
7대 세조
1455-1468
4대 세종의 둘째 아들(수양대군).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함.
8대 예종
1468-1469
7대 세조의 둘째 아들. 재위 13개월 만에 죽음.
9대 성종
1469-1494
7대 세조의 손자.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함.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음.
10대 연산군
1494-1506
9대 성종의 맏아들이자 폐비 윤씨의 아들. 조선 최초의 반정으로 폐위됨.
11대 중종
1506-1544
제9대 성종의 둘째 아들이자 연산군의 이복동생. 관련어: 조광조, 기묘사화
12대 인종
1544-1545
11대 중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효심이 깊었던 왕, 재위 8개월만에 사망함.
13대 명종
1545-1567
11대 중종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관련사건: 을사사화
14대 선조
1567-1608
11대 중종의 손자.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왕.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이 활발해짐. 붕당 형성.
15대 광해군
1608-1623
14대 선조의 둘째 아들. 조선 중기의 격동기에 실리외교를 택한 군주. 대동법을 실시함.
16대 인조
1623-1649
14대 선조의 손자. 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삼전도 굴욕을 겪은 왕.
17대 효종
1649-1659
16대 인조의 둘째 아들. 북벌을 국시로 내세웠으나, 북벌의 기회를 얻지는 못함.
18대 현종
1659-1674
17대 효종의 아들. 남인과 서인의 당쟁(예송논쟁)이 계속되어 국력이 쇠퇴해짐.
19대 숙종
1674-1720
18대 현종의 아들. 대동법을 전국에 실시함. 당쟁과 궁중암투가 극에 달함. 관련인물: 인현왕후, 희빈 장씨, 숙빈 최씨
20대 경종
1720-1724
19대 숙종과 희빈 장씨의 아들. 노론과 소론 당쟁의 절정기.
21대 영조
1724-1776
19대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 붕당 대립을 완화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함.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군역 부담을 줄임.
22대 정조
1776-1800
21대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아들. 탕평책을 계승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함.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를 이루었다고 평가됨.
23대 순조
1800-1834
22대 정조의 둘째 아들. 11세에 즉위. 김조순 등 안동 김씨가 세도정치를 하던 시대로 백성들의 생활이 매우 힘들었음. 1811년 홍경래의 난 발생함.
24대 헌종
1834-1849
23대 순조의 손자. 8세에 즉위.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권력 투쟁에 휘말림.
25대 철종
1849-1863
22대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의 손자. 1844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9세 나이로 즉위.
26대 고종 1863-1907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
27대 순종 1907-1910
26대 고종의 둘째 아들. 조선의 마지막 황제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 왕 계보 - 1392~1910, 519년 (역대 왕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