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목련 개화시기 목련꽃말

by 아이루스 2023. 3. 12.
728x90
반응형

목련 꽃말

목련개화시기

목련피는시기 
목련 지는 시기

목련 꽃말
목련 지는 시기
 


목련 
목련(木蓮, Magnolia kobus)은 일본과 한국(제주도)에 분포하는 낙엽교목으로 흰색 꽃이 핀다.
속명 혹은 서구권에서 부르는 이름은 Magnolia인데 이는 18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인 피에르 마뇰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식 발음은 매그놀리아지만 프랑스어식 발음은 마뇰리아(/maɲoλa/)이다.


희고 풍성한 꽃잎이 아름답지만 꽃이 지면 오래 묵어 푹 익썩은바나나 껍질같이 갈색으로 변해 길바닥에 흩어져있어 미관을 해치는 대표적인 뒤끝 안 좋은 꽃으로 인식된다.
 
목련 꽃말
목련 꽃말은

고귀함

'숭고한 정신,우애,은혜,존경'

자연애

 

백목련 꽃말 - 이루지 못할 사랑등이 있다.


백목련
우리가 흔히 목련이라 부르는 꽃은 백목련으로, 백목련은 6장의 꽃잎과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3장의 꽃받침을 갖고 있고 '목련'은 꽃잎이 6장이며 개화할 때 백목련보다 훨씬 넓고 편평하게 펴진다. 

 

그 외에 자줏빛 꽃의 자목련과 일본 원산의 일본목련, 별목련, 한국 자생종인 산목련(함박꽃나무) 등이 있다. 꽃이 개화하기 전 꽃봉오리를 따서 목련차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백악기 때분터 살아남은 식물 목련
참고로 백악기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꽃 식물 중 하나다. 과거에는 미나리아재비목이라고 생각되어왔으나, 최근 들어 분자생물학 기술이 발달되면서 목련과 그와 비슷한 계통의 식물들이 다른 쌍떡잎식물들과는 전혀 다른 원시적인 속씨식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서 목련군(Magnoliid)라는 독립적인 군으로 독립되었다. 여담으로 다른 일반적인 쌍떡잎식물들은 진정쌍떡잎식물(Eudicot)으로 부른다. 목련이 출현한 시기는 벌과 나비가 출현하기 전이다. 그래서 꿀샘이 없고 대신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 등을 유인하며, 때문인지 목련군에는 유달리 향이 강하고 멀리 퍼지는 꽃이 피는 나무가 많다.

목련 언어별 명칭
영어 Magnolia
한국어 목련
중국어 玉兰花yùlánhuā
일본어 木蓮もくれん

목련을 찬양한 가곡으로 조영식 작사, 김동진 작곡의 '목련화'가 유명하다. 위 작사자는 경희대학교 설립자이고, 경희대의 교화도 목련이다. 많은 성악가들이 이 노래를 불렀지만 경희대 교수로 재직한 성악가 엄정행이 부른 것이 널리 알려졌다.
 
목련 전설 
백목련과 자목련에 관해서 전해져내려오는 설화가 있는데, 옥황상제가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 사윗감을 물색하고 있었으나 공주는 옥황상제가 골라준 사윗감들은 거들떠보지 않았다. 그녀는 사납다고 알려진 북쪽 바다의 신만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공주는 기회를 엿보아 몰래 궁을 빠져나와 북쪽 바다의 신이 사는 궁으로 갔으나 안타깝게도 북쪽 바다의 신은 유부남이었고, 충격을 받은 공주는 바다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소식을 알게 된 북쪽 바다의 신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자신의 아내에게 독약을 먹인 다음뭐요? 두 여자의 장례를 성대히 치러준 뒤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고 한다. 이후, 두 여인의 무덤에서 목련이 자라났는데 공주의 무덤에서는 백목련이, 북쪽 바다의 신의 아내의 무덤에서는 자목련이 피어났다고 한다.이딴 게 설화?
생긴게 비슷한 꽃으로 함박꽃나무가 있다. 목련과 종은 다르나 과, 속이 목련과 목련속으로 같다. 함박꽃나무는 북한의 국화다.
 
목련 쓰임새
정원수나 가로수로 주로 심어진다. 이외에도 접붙이기할 때 대목으로 쓰인다.[4] 목재의 재질이 치밀하고 연하여 상을 만들거나 칠기를 만드는 데에도 적합하다. 일본에서는 나무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자시쓰의 기둥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목련 약용
이른 봄에 채취한 꽃봉오리를 통풍이 잘 되는 곳이나 햇볕에 말리면 한약재인 신이(辛夷)가 된다. 진통과 진정의 효과가 있으며, 비염, 축농증, 두통, 현기증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민간에서는 1일량 2-10g의 신이를 300-400cc의 물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1일 3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용법이 알려져 있다. 축농증이나 꽃가루 알레르기의 코막힘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마른 신이를 분말로 하여 1회 0.1~0.2그램을 끓여 복용해도 좋다고 한다. 몸을 따뜻하게 하는 약초를 위해 다량으로 마시면 현기증이나 충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꽃봉오리는 방향제이기도 한데, 꽃은 향수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는 꽃봉오리를 건조시켜 쓰는데 목련의 나무껍질에서 나온 수액은 감기를 치료하거나 기생충을 없애는 데 쓰인다.


목련 식용·음용
일본에서는 아이누가 나무 껍질을 차처럼 사용하여 음용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단, 나무껍질은 유독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꽃은 설탕에 절이거나 얇게 튀김옷을 입혀 튀김에 조리되기도 한다. 붉은 과일 등을 모아 소주 등에 담가두면 색다른 향의 과실주를 만들 수 있다.

목련 꽃말

목련개화시기

목련피는시기 
목련 지는 시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