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불행동 요령

by 아이루스 2022. 3. 5.
728x90
반응형

2000년 동해안에 산불이났었지요

 

2000년 동해안 산불은 2000년 4월 7일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학야리에서 발화하여 4월 15일까지 강원도 고성군과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의 산림 23,794 헥타르를 태우고 850여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산불입니다.

피해 규모
건물: 101동 소실
인명 피해: 2명 사망, 15명 부상
이재민: 390여 가구 850여 명
산림: 23,794 헥타르
추정 금액: 360여억 원

 

 

엄청난 피해를 가져왔네요. 제발 산불이 빨리 소각되기를 바랍니다.

산불행동 요령 알아두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반응형

주택가로 산불이 확산될 경우 국민행동요령

1. 산불을 발견했을 때는
・ 산불을 발견했을 경우 산림청, 소방서(119), 경찰서(112), 시 ‧ 도, 시 ‧ 군 ‧ 구 산림부서, 산림항공본부, 지방산림청, 국유림관리소 등 산림관서에 신고합시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외투 등을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습니다.
・ 산불 규모가 커지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산불 발생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논, 밭, 공터 등 안전지대로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 산불로 위험에 처했을 경우에는 바람을 등지고 주변의 낙엽, 나뭇가지 등 연소물질을 신속히 제거한 후 소방서, 경찰서 등에 신고한 후 낮은 자세로 엎드려 구조를 기다립니다.

2. 산불이 주택가로 확산될 경우 대피요령
・ 불씨가 집, 창고 등 시설물로 옮겨 붙지 못하도록 집 주위에 물을 뿌려주고, 문과 창문을 닫고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 휘발성 가연물질 등은 제거합니다.
・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산불이 발생한 산과 연접ㆍ연결된 민가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 주민대피령이 발령되면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 산에서 멀리 떨어진 논, 밭, 학교, 공터, 마을회관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 혹시 대피하지 않은 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상황을 알려준다.
・ 재난방송 등 산불상황을 알리는 사항에 집중하여 들어야 합니다.
・ 산불 가해자를 인지하였을 경우 시 ‧ 도, 시 ‧ 군 ‧ 구 산림부서, 산림관서, 경찰서 등에 신고해야 합니다.

산불 국민행동요령

・ 산불을 발견하면 119에 신고합니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외투, 나뭇가지 등을 이용해 두드리거나 덮어서 불을 끕니다.

・ 산불 규모가 커지면 산불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불길을 등지고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빨리 대피합니다.

・ 대피할 여유가 없을 때는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이 없는 곳에서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습니다.

※ 산불 예방
산불조심기간(봄철 : 2.1~5.15, 가을철 : 11.1~12.15)

・ 산행전에 산림청 홈페이지를 통해 통제되지 않은 출입 가능한 등산로를 확인합니다.

・ 산에는 성냥, 라이터 등 화기물을 가져가지 않고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산에서 취사, 야영을 하지 않습니다.
※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가능

Q & A

Q. 산불이 계속 번져서 위험에 처했을 경우 대처요령은?
A.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번지게 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대피장소는 불이 지나간 타버린 장소, 낮은 장소,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하고 산불보다 높은 장소를 피하고 불길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는 낮은 지역을 찾아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합니다.

* 자료제공 : 산림청 산불방지과

알아두면 좋은 재난정보

안전산행요령
산행 전에는 입산통제, 등산로 폐쇄 여부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에는 산행을 하지 않습니다.
입산 시에는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불 시 행동요령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