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 사랑 vs 육체적 사랑
정신적 사랑 vs 육체적 사랑-----생각글 중에서
정신적 사랑 vs 육체적 사랑
누구나 한번쯤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을 놓고
우리는 과연 어느 쪽일까
골몰히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정신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플라토닉 러브(Platonic love)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이름에서 유래됐다.
플라톤은 "여자와 동침하면 육신을 낳지만
남자와 동침하면 마음의 생명을 낳는다"고 말하며
동성애와 정신적인 사랑을 찬양했다.
플라토닉 러브(Platonic love)는
육체적 욕망에서 벗어난 정신적 사랑이야말로 참된 사랑이며,
육체적인 사랑은 사람을 짐승의 위치로 타락시킨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정신적인 사랑만으로는 힘들다는 것이다.
채워지지 않는 그 무엇을 포기할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이와는 반대로
여자들은 섹스 없는 정신적인 사랑만 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여자들의 정신적인 사랑 속에는
'존경','신뢰'와 같은 단어들이 들어있다.
우리들은 보통 정신적인 사랑을 먼저 경험한 뒤에
육체적인 결합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육체적 관계 이후
사랑의 감정을 경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렇다면 후자의 경우는 사랑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까.
중요한 것은 현재 우리는 사랑하고 있다는 것이니까.
사랑을 하게 되면 그 사람과 하나가 되고 싶고,
그 사람과 함께라면 마냥 행복하다고 느껴진다.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은
정신적인 것이든 육체적인 것이든 공통된 것이다.
상대와 정신적인 일체감을 맛보는 것과
뜨거운 육체적 결합을 나누는 것 중
무엇이 더 고귀하고 감동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사랑하는 사람의 팔을 베고 누워있다가
문득 그의 몸속으로 빨려 들어가 그의 일부가 되고 싶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렇듯 사랑의 감정은 끝없는 목마름을 불러온다.
그러나 사랑하는 사람과의 섹스는
그러한 목마름을 채워주는 오아시스와 같다.
그 순간만큼은
하나가 되었다는 일체감과 안도감, 행복감만이 존재하며
이 세상에 오직 둘만이 존재하는 듯한 평화로움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모든 섹스가 당신의 목마름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사랑이 깊은 이들에게만 오아시스가 찾아오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이와 하나가 된 그 순간
눈물이 쏟아질 것 같은 감동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가.
그 시간 속에서는
정신과 육체를 나눈다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바로 당신의 몸도 사랑을 하는 것이다.
'정신+육체조화', 백년해로 방정식이며
정신과 육체가 조화를 이룰 때 부부사랑이 원만하다.
정신적 사랑 vs 육체적 사랑-----생각글